경제 한입

인플레이션의 종류와 최근 경제 동향 – 스태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하이퍼플레이션까지

한입블로그 2025. 2. 4. 05:12
반응형

본 포스팅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등 다양한 경제 현상의 원인과 사례를 분석합니다.

2025년 경제 전망과 글로벌 경제 변화가 미칠 영향을 살펴보세요.


중앙은행의 통화량 증가 → 경제 내 유동성 증가 →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경제 성장과 함께 일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근 30년간(1990년대~2020년대) 세계 경제에서는 다양한 인플레이션 유형이 화두가 되었습니다. 단순한 물가 상승을 넘어 경기 침체와 맞물려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였으며,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유형과 최근 경제 동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유형 및 글로벌 사례 분석

1. 인플레이션 (Inflation)

▲일반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 현상 ▲ 일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의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구매력 감소와 경제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음 ▲ 최근 사례:

  • 2021~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공급망 차질로 인해 전 세계적인 물가 상승이 발생했다.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급등하며 생활비 상승과 실질 임금 감소로 이어졌다. 

출처 - FRBSF

 

2021~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과도한 유동성을 공급한 것이 주요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정부는 대규모 경기 부양책을 시행하며 개인에게 직접 현금을 지급하고, 실업 수당을 확대했으며, 초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면서 시중에 엄청난 달러를 풀었습니다. 이로 인해 통화량이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여기에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붕괴, 원자재 가격 급등, 노동력 부족 등이 겹치면서 생산 비용이 증가했고, 결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급등하며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들의 생활비 상승과 실질 임금 감소로 이어졌습니다. 이런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해 Fed는 2022년부터 급격한 금리 인상을 단행하며 유동성을 회수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참고자료 :

IMF - Inflation and uncertainty

BROOKINGS - COVID-19 inflation was a supply shock

이미지출처 :

FRBSF - Global Supply Chain Pressures and U.S. Inflation

2.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최근 가장 많이 화두가 되는 단어는 스태그플레이션일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실 만한 주제인 만큼, 자세히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제 성장 둔화(경기 침체) + 높은 실업률 +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 ▲ 일반적인 경제 원칙과 반대되는 현상으로, 정책 대응이 매우 어려움 ▲ 최근 사례:

  • 1970년대 오일 쇼크: 1973년 석유 수출국 기구(OPEC)가 석유 수출을 제한하면서 유가가 급등하였고, 이에 따라 생산 비용이 상승하고 경제 성장 둔화가 발생했다. 글로벌 경제는 장기 침체에 빠졌으며, 이는 현대 경제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사례로 남아 있다. 

출처 - coinmena

스태그플레이션의 정의와 특징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 둔화(stagnation)와 높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인 경제 이론과 상반되는 현상으로, 1970년대 이전까지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사이에 안정적인 역관계가 있다고 여겨졌습니다.주요 특징:

  • 경제 성장 둔화 또는 침체
  • 높은 실업률
  • 높은 인플레이션

1970년대 오일 쇼크와 스태그플레이션

1973년 오일 쇼크

1973 10,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국가들에 대해 석유 수출을 금지했습니다이로 인해:

  1. 유가가 급등했습니다.
  2. 생활비가 크게 상승했습니다.
  3. 경제가 침체되었습니다.

1978-1979년 두 번째 오일 쇼크

1978년 이란 혁명으로 인한 정권 교체로 세계 석유 생산량이 7% 감소했습니다. 1979년에서 1980년 사이 유가가 두 배로 상승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

  1. 경제 지표 악화: 1974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모두 5%를 넘었습니다. 1980년에는 이 두 지표의 합인 "비참지수(misery index)" 20.6%로 정점을 찍었습니다.
  2. 정책 대응의 어려움: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실업률을 더 악화시킬 것을 우려했습니다.
  3.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 1979년 말까지 CPI 9% 상승했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의 영향과 교훈

  1. 경제 정책 패러다임 변화: 스태그플레이션은 기존의 경제 평가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특히 공공의 기대가 경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2. 장기적 관점의 정책 필요성: 단기적 이익을 위해 장기적 이익을 희생하지 않는 시간 일관성 있는 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3. 중앙은행의 역할 변화: 이 시기의 경험은 이후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관리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와의 비교

 

현재 경제 상황은 1970년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4 2월 기준,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제롬 파월은 현재 경제에서 스태그플레이션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이 모두 4% 미만인 점을 들어, 1970년대와는 다른 상황임을 강조했습니다.19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 경험은 현대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교훈을 제공하고 있으며, 경제학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유사한 상황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INVESTOPEDIA - Stagflation in the 1970s

APNews - Worry about stagflation, a flashback to ‘70s, begins to grow

gerogetonlaw - Slow But Not Steady: The Fight Against Stagflation in the 1970s

NBCnews -  Fed chair Jerome Powell: No sign of stagflation in U.S. economy

이미지출처 :

coinmena.com - Understanding Stagflation

3. 디플레이션 (De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 수요 부진과 경기 침체로 인해 발생하며, 기업 수익 감소 → 임금 하락 → 소비 위축의 악순환 초래 ▲ 최근 사례:

  • 1990년대 일본 ‘잃어버린 20년’: 1980년대 후반 일본은 부동산 및 주식 시장에서 거품이 형성되었습니다. 1990년대 초 거품이 붕괴되면서 **자산 가격이 급락(주식 60%, 부동산 70% 하락)**하고 은행 부실채권이 급증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시스템이 마비되며 경제 성장률이 1991~2000년 평균 1.3%로 추락했습니다. 1990년대 초반 일본의 부동산 거품 붕괴 이후 장기적인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으로 인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며, 이는 디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사례로 남았습니다. 정부는 금리를 장기간 0% 근처로 유지했으나 경제 회복은 지연되었습니다.
  • 이 사례는 자산거품 붕괴 후 디플레이션 관리 실패가 초래할 수 있는 경제적 비용을 보여주며, 금융안정과 수요지원 정책의 시의적절한 조합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특히 인구구조 변화와 글로벌 경쟁 환경을 고려한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참고자료 : 

INVESTOPEDIA - Lost Decade in Japan: History and Causes

BIS - Japan's growth and deflation: two lost decades?

LG 경영연구원 - 일본경제 디플레이션의 교훈

4. 하이퍼인플레이션 (Hyperinflation)

▲  극단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화폐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 ▲ 정부의 과도한 화폐 발행과 정치적 불안정성 등이 주요 원인 ▲ 최근 사례:

  • 2000년대 짐바브웨 하이퍼인플레이션: 짐바브웨 정부가 무리한 화폐 발행을 지속하면서 2008년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231,000,000%를 기록하며 역사상 최악의 하이퍼인플레이션 사례 중 하나로 남았다. 시민들은 일상적인 거래에서도 휠바로우로 돈을 운반해야 할 정도로 화폐 가치가 붕괴되었다. 
  • 2016~2019년 베네수엘라 경제 붕괴: 베네수엘라의 경제 위기 속에서 정부의 과도한 화폐 발행과 정치적 불안정이 겹쳐 2018년 인플레이션율이 1,000,000%를 넘어서며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급격히 하락했다. 

참고자료 : 

utexas - Hyperinflation in Venezuela: How to Address the Problem

fastercapital - Venezuela: Venezuela's Struggle with Hyperinflation: Lessons for the World

investopedia - What Is Hyperinflation? Causes, Effects, Examples, and How to Prepare

5.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Agricultural Inflation)

▲  농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 기후 변화, 자연재해, 전쟁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식량 공급이 줄어들면서 발생 ▲ 최근 사례: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우크라이나는 세계 주요 곡물 생산국 중 하나인데, 전쟁으로 인해 밀과 옥수수 등의 수출이 제한되면서 국제 곡물 가격이 급등했다. 이는 식량 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 기후변화와 작황 부진: 2022년에는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과 폭염으로 인해 미국, 유럽, 인도의 주요 농작물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였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식량 위기가 악화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참고자료 : 

abcnews - Food prices could increase further due to climate change's effect on inflation around the world: Study

gov.uk - Figures to November 2022 (published 26 January 2023)

ourworldindata- How will climate change affect crop yields in the future?

frontiersin - The Russia-Ukraine war, soaring food prices, and the Turkish economy

이미지출처 : IMF - How War in Ukraine Is Reverberating Across World’s Regions 


 

결론 & 향후 전망 

  • 최근 세계 경제는 공급망 차질, 금리 인상, 에너지 위기 등의 요인으로 인해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음.
  • 특히, 기업들이 가격을 과도하게 인상하면서 그리드플레이션 논란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
  •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과 각국 정부의 경제 대응이 인플레이션 조절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됨.
  • 한국 경제는 수출 중심 구조이므로, 글로벌 경제 변화에 민감하며, 이에 따른 환율·주식·원자재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전망.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여러분은 어떤 전략을 세우고 계신가요? 지금 세계 경제는 어디로 향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 "경제 전망이 궁금하다면 블로그 구독을 해주세요! " ⭐

반응형